반응형

Framework/Springboot 7

[Springboot] @ToString.Exclude, @ToString(exclude =" ") 정리 및 오류

잡담Springboot 프로젝트를 진행도중 Entity를 만드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Lombok을 통해 @Tostring을 추가해서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이었는데 참조하는 모든 값을 출력하면 정작 필요한 값을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에 Exclude를 사용하는 과정이었습니다.   @ToString. Exclude 사용 예제import lombok.ToString;@ToStringpublic class User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ToString.Exclude private String password; public User(String name, int age, String password) { thi..

[Springboot] thymeleaf 조건문 if

Thymeleaf에서 th:if는 조건부로 HTML 요소를 렌더링 하는 데 사용되는 속성입니다. 이 속성을 사용하면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만 HTML 요소를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th:if는 일반적으로 Thymeleaf 템플릿 엔진과 함께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여기서 ${condition}은 평가될 조건을 나타내며, 조건이 true일 때 내부의 HTML 요소가 렌더링 됩니다.다음은 th:if를 사용한 간단한 예제입니다: Welcome Admin! Welcome User! 이 예제에서는 user.isAdmin이라는 조건에 따라 관리자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메시지를 출력합니다.또 다른 예제로는 리스트의 요소를 순회하..

[Springboot] Session이란?

세션(Session)이란?세션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지속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HTTP 프로토콜이 기본적으로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마다 새로운 요청으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용자 인증 정보, 쇼핑 카트 내용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세션을 사용합니다. 세션의 동작 원리세션 생성: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처음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새로운 세션을 생성합니다. 이때 서버는 고유한 세션 ID를 발급합니다.세션 ID 전달: 서버는 생성된 세션 ID를 클라이언트에게 쿠키를 통해 전달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이 세션 ID를 로컬에 저장합니다.세션 유지: 클라이언트는 이후의 모든 요청에 세션 ID를 함께 전송하여..

[Springboot] Scope란?

잡담미니 프로젝트 겸 게시판을 만들다가 게시글 작성할 때 로그인한 사람만 권한을 주고 싶어서 방법을 찾다가 Session에 대해 검색하게 되었습니다. 로그인 정보를 session에 담아놓고 필요할 때마다 어느 페이지에서든 꺼낼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혹은 session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페이지에 대한 권한을 인증받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session 말고도 request나 application도 범위에 대해 활용이 다양했는데요. 이를 웹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라고 해서 해당 내용들을 검색해 봤습니다. 아래는 검색내용들입니다. 목차 1. Request Scope (요청 범위) 2. Session Scope (세션 범위) 3. Application Scope (애플리케이션 범위) ..

[Springboot] DB설정 / JPA

잡담Springboot를 공부하면서 annotation도 너무 많고, 구조적으로도 이해 안 되는 부분이 많아서 공부하는데 애를 먹고 있습니다. 계속 연습하다 보면 왜 Springboot를 쓰는지 이해할 날이 올 거라 믿습니다. 오늘은 JPA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JPA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와 독립적인 쿼리 작성이 가능하며, 엔티티에 대한 직관적인 쿼리 작성이 가능합니다. 또한 매핑을 지원해서 자바언어로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게 됩니다. JPA는 최근에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잘 배워둬야 될 것입니다. 1. JPA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영구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자바 ORM(Object-Relational Mapping) 표준입니다...

[Springboot] Controller (get / post)

잡담오늘은 Springboot에서 RestController를 이용해서 json처리하는 방법과 해당 결과를 출력하는 thymeleaf에 대한 예제와 get / post 방식에 대한 몇 가지 들어서 공부해 볼 예정입니다.   1. @GetMappingSpring Boot에서 @GetMapping은 HTTP GET 요청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입니다. 이 어노테이션을 메소드에 적용하면 해당 메서드가 지정된 경로로 들어오는 GET 요청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이전 게시글에서 작성했던 예제를 다시한번 가져왔습니다.package org.zerock.b01.Controller;import lombok.extern.log4j.Log4j2;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

[Springboot] Springboot 기본

잡담앞서서 Servlet을 통해서 TodoList를 만들면서 framework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배웠는데 요즘은 복잡해서 잘 안 쓰고 Springboot를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어노테이션(annotation) '@'을 사용해서 좀더 심플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고 해서 기본적인 예제를 통해 Springboot를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생성File -> New -> Project...기본설정 Spring Boot dependencies "dependencies"란 프로젝트가 외부 라이브러리나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 의존하는 것들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빌드 시스템(예: Maven, Gradle)을 통해 관리됩니다.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도 종종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