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다른 PC에서 작업 하던 프로젝트를 집에서 작성하기위해 Git 버전으로 불러와서 작업하던 도중 TEST를 진행하기 위해 클래스를 만들어서 실행시켰는데 Process 'Gradle Test Executor x'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오류가 발생하였다. 코드에는 문제가 없었고 DB문제도 아니였는데 아무리 실행을 시켜도 해당 오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습니다.
1. 오류발생
아래와 같은 오류가 실행중 발생하였고 다른 작업은 실행되었지만 TEST 작업을 실행할때 발생하였습니다.

Execution failed for task ':test'.
> Process 'Gradle Test Executor 2'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 Try:
>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
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
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7/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
BUILD FAILED in 4s
5 actionable tasks: 5 executed
2. 발생원인
1. 환경 변수 및 경로 문제
Gradle과 IntelliJ IDEA는 서로 다른 환경 변수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Gradle이 사용하는 JDK 버전과 IntelliJ IDEA가 사용하는 JDK 버전이 다를 수 있습니다. Gradle이 사용하는 JDK 버전을 확인하고 IntelliJ IDEA에서 사용하는 JDK 버전과 일치시키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의존성 충돌
Gradle과 IntelliJ IDEA의 클래스 경로(Classpath) 설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특정 의존성 버전이 다르게 로드되면서 테스트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3. Gradle의 테스트 설정 문제
Gradle의 테스트 설정이 잘못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radle에서 특정 테스트가 제대로 구성되지 않거나 필요한 리소스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4. 빌드 캐시 문제
Gradle의 빌드 캐시나 프로젝트 캐시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캐시를 정리하고 다시 빌드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3. 해결방법
1. 파일 및 캐시 삭제 후 재실행
- 프로젝트 폴더에 있는 build와 out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시작해주세요.
- 프로젝트 폴더에 있는 gradle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시작해주세요.
- File -> Invalidate Caches를 선택해서 진행해주세요.
- File -> Repair IDE를 선택해서 진행해주세요.
2. JDK 버전 확인
File -> Project Structure

SDK 버전 확인

3. Run Default 수정
File -> Setting

Build, Exception, Deployment -> Gradle

Build and run using 과 Run tests using을 Gradle에서 Intellij IDEA로 수정해준다.
글을 마치며
저는 3번째 방법을 통해서 성공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으나 사용하는데는 지장없는듯하다.